책 쓰는 엔지니어

Structure and Function of △1-Tetrahydrocannabinolic Acid (THCA) Synthetase, the Enzyme Controlling the Psychoactivity of Cannabis Stavia 본문

첨단기술 읽어주는 농부

Structure and Function of △1-Tetrahydrocannabinolic Acid (THCA) Synthetase, the Enzyme Controlling the Psychoactivity of Cannabis Stavia

halfbottle 2020. 7. 2. 10:59
728x90
반응형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022283612005220

 

대마의 THC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에 대한 실험논문. 결과만 먼저 보자.

 

 

뮤테이션 넣어서 아미노산 하나만 건드리는걸로 액티비티를 최대 0%까지도 떨어뜨릴 있음.

 

이게 무슨 의미냐 하면, 마약효과는 거의 없다시피한 의료용 대마를 만들 있다는 이야기이도 하다. KEGG Pathway 보자.

 

https://www.kegg.jp/kegg-bin/highlight_pathway?scale=1.0&map=map00999&keyword=cannabidiol

 

대마의 핵심산물인 CBD THC 합성 Pathway. TCA회로가 돌아가는가 싶더니 어느 순간부터 자연스러운척 분리된 경로를 타고 대마성분이 합성되는거다. 사실 식물의 대사산물은 거의 대부분이 TCA 회로 부산물이다.

 

 

https://www.kegg.jp/kegg-bin/highlight_pathway?scale=1.0&map=map01060&keyword=plant

 

Pathway 그림이 너무 커서 링크를 통해 확인하는걸 추천한다. 자료에 따르면 식물의 모든 대사산물은 포도당의 분해과정에서부터 시작한다. 식물 안에 있는 대부분의 물질은 포도당을 출발 재료로 하여 도달할 있는 대상이라는 뜻이다. 특히나 그림의 좌측에 해당하는 녀석들은 TCA 회로의 부산물에서부터 출발한다.

 

식물의 이차대사산물 농도를 높이기 위해 소금물을 뿌리거나 빛을 이상하게 주는 스트레스를 가하는 방식이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데, 식물의 포도당 소모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함이 아닐런지. 여하튼 대마의 생합성 pathway 되돌아와보자.

 

 

 

최하단에 붉게 표시된게 CBD 물리는 물질이다. 그리고 밑에 있는 녀석이 THC. 대마의 환각작용은분은 대부분 THC때문이라고 한다. 먹어봐서 모르겠다.

 

 CBD 에피디올렉스라는 뇌전증 치료제로 활용되된다. 파킨슨병에도 효과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연구 결과도 있고, 최근에는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preprint 공개되었다. 부작용이 아주 없다고는 없지만 경우에 따라 사람을 살리는 역할도 있다는 .

 

그래서 CBD 수요가 있다. 이번에 대한민국에서도 의료용 대마 규제자유특구가 신설되면서 CBD 활용한 신제품 개발 사업이 4년간 진행될 예정이다. 대한민국 정부는 여기에 예산을 460 투입할 예정이라고.

 

그런데 대마 관련 프로젝트에서는 항상 THC 문제다.

 

의료용 제품을 만들려면 CBD함량이 높은 대마를 생산할 있어야 한다. 그런데 그림을 보면 아시겠지만 CBD THC 재료는 Cannabigerolate라는 동일한 물질이다. CBD 함량을 높이기 위해 Cannabigerolate함량 높이면 자연스레 THC 늘어난다.

 

건체중 대비 THC 0.3%이상 함유된 경우 마약인 마리화나로 분류하고, 0.3% 미만인 경우 헴프로 분류한다. 이래서 복잡한 문제가 생긴다.

 

의약품의 원료로써 효율성을 높이려면 CBD 함량이 높아야 한다. 하지만 THC함량이 0.3% 넘어가면 된다.

 

이게 대한민국에서 의료용 대마가 실용화되기 위해 넘어야 하는 번째 산이다.

 

그런데 이런 생각을 있지 않을까? "Cannabigerolate THC 변환하는 EC.1.21.3.7. 효소만 억제하면 되는 아닙니까?"

 

그래서 관련된 연구를 찾다 찾다 읽게 것이 논문이다. 다시 result 보자.

 

 

뮤테이션을 일으켰더니 wild type 대비 activity 떨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대충 이런 논문이었다. 상세한 메소드같은건 관심이 없어서 읽어봤고, 가지 건진 점은 이거다.

 

  1. 효소 뮤테이션으로 THCA 합성 과정 저해가능
  2. 뮤테이션 방법
728x90
반응형
Comments